새로운 원룸에 입주하려고 했는데,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발견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특히 니코틴 얼룩, 먼지, 이물질 등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라면 계약 전에 반드시 해결해야 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계약 전 해결할 방법, 집주인과 협의하는 방법, 계약 시 주의할 점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니코틴 얼룩과 청소 상태, 왜 문제일까? 🚨
입주 전 청소는 기본적으로 집주인의 책임입니다. 특히 니코틴(담배 찌든 때)이 심한 경우라면, 이는 단순 먼지가 아니라 벽지나 가구에 스며든 오염물질로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.
📌 니코틴 얼룩이 있는 경우의 문제점
✔ 악취: 담배 냄새가 지속적으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음
✔ 건강 문제: 벽지, 환풍구 등에 스며든 담배 성분이 호흡기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
✔ 청소 어려움: 일반적인 세제로는 지우기 어려우며, 벽지 교체가 필요할 수도 있음
📌 현재 확인된 문제
✔ 환풍구에 심한 니코틴 얼룩
✔ 먼지, 털 등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
✔ 샤워실에 돌멩이 같은 이물질 존재
➡ 이런 경우, 계약 전에 반드시 집주인에게 청소 요청을 해야 합니다!
2. 계약 전에 집주인에게 청소 요청하는 방법 🏠
아직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면, 강하게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이 있습니다. 만약 집주인이 요구를 무시하거나 청소를 하지 않겠다고 하면, 계약을 보류하거나 다른 원룸을 찾는 것도 방법입니다.
✅ 1) 직접 청소 요구하기
- "청소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데, 입주 전 다시 청소해 주실 수 있나요?"
- "환풍구에 니코틴 얼룩이 심한데, 이 부분도 정리 가능할까요?"
- "샤워실에 이물질이 많고 현관에도 먼지가 그대로 있는데, 청소가 된 게 맞나요?"
📌 단호하게 말하는 것이 중요
- "이 상태로는 계약이 어렵습니다."
- "입주 전 기본적인 청소는 집주인의 책임입니다."
- "청소가 해결되지 않으면 계약을 재고하겠습니다."
✅ 2) 청소비 관련 불합리한 요구 거부하기
집주인이 청소비 15만 원을 요구하는 상황이 있는데, 이미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라면 이 요구는 정당하지 않습니다.
📌 이렇게 말해보세요!
- "현재 청소 상태를 보면, 15만 원의 청소비가 전혀 정당하지 않습니다."
- "입주 전에 기본 청소는 집주인의 의무입니다. 추가 청소 비용을 부담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."
- "이 상태에서 청소비를 요구하시면, 계약을 고려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."
💡 계약 후 청소비를 문제 삼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?
✔ 입주 당시 청소 상태를 사진으로 남겨두세요.
✔ 계약서에 "청소비 부담 없음"이라는 내용을 명확히 기재하세요.
✔ 집주인이 추가로 청소비를 요구하면, 법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습니다.
3.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✅
청소 문제 외에도 계약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.
📌 입주 전 체크해야 할 사항
✅ 벽지, 바닥 상태: 곰팡이, 니코틴 얼룩, 찍힘, 긁힘 확인
✅ 배수구, 하수구 상태: 물이 잘 내려가는지 확인
✅ 전기·가스·보일러 작동 여부: 고장이 없는지 체크
✅ 도어락, 창문, 방음 상태: 보안 및 방음 문제 확인
✅ 환풍구, 공기 상태: 냄새나 곰팡이가 있는지 체크
📌 계약 시 주의할 점
✔ 청소 상태에 대한 특약 추가 (예: "입주 전 청소 미이행 시 계약 해지 가능")
✔ 보증금 반환 조건 확인 (이사 시 청소비 등 추가 비용 부과 여부 명확히 하기)
✔ 수리 및 관리 책임 확인 (환풍구, 배수구 등 유지보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확인)
➡ 위 사항을 확인하고, 문제가 있다면 반드시 계약 전 해결하도록 요구하세요!
4. 만약 집주인이 청소를 거부한다면? 🚨
집주인이 "그냥 이 상태로 계약할 거면 하고, 아니면 말라"는 식으로 나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
1️⃣ 계약을 하지 않고 다른 원룸을 찾는 것도 고려
💡 아직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면, 다른 집을 알아보는 것이 최선일 수 있습니다.
- 계약 후 청소 문제로 분쟁이 생기면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음
-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않은 곳이라면 관리 상태도 엉망일 가능성이 높음
- 집주인이 청소를 거부하는 태도라면, 향후 다른 문제 발생 시에도 협조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큼
2️⃣ 계약을 해야 한다면, 서면 합의를 받아두기
만약 꼭 계약을 해야 한다면, 청소 문제를 서면으로 확실하게 기록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📌 계약서에 포함해야 할 내용
✔ "입주 전 청소 미이행 시, 입주자가 직접 청소 후 비용을 차감할 수 있음."
✔ "청소비 15만 원은 입주자가 부담하지 않음."
✔ "청소 상태가 불량할 경우 계약 해지 가능."
이러한 내용을 계약서에 포함하면, 향후 문제가 생겼을 때 법적으로 대응하기가 수월해집니다.
5. 결론: 계약 전 청소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! ✅
✔ 니코틴 얼룩, 먼지, 이물질 등 청소 상태가 나쁘다면 계약 전에 해결 요구
✔ 청소비 15만 원 요구는 부당할 가능성이 높음. 계약 전 명확히 정리해야 함
✔ 계약서에 청소 상태 및 비용 관련 특약을 반드시 포함
✔ 집주인이 청소를 거부하면 계약을 재고하는 것도 방법
✔ 향후 분쟁을 대비해 입주 전 사진 기록 필수
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, 불필요한 비용 부담 없이 깔끔한 상태에서 입주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!
'법률과 부동산 탐험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대인이 집을 매도해도 계약갱신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을까? 임차인의 권리와 대처 방법 (0) | 2025.04.07 |
---|---|
묵시적 갱신 후 조기 퇴거 시, 이사비용과 복비 부담은 누구의 몫일까? (0) | 2025.04.06 |
디딤돌 대출 이용 중, 세입자를 받으면 불이익이 있을까? 대출 유지와 임대 전략 (0) | 2025.04.04 |
건물주가 갑자기 철거 후 재건축을 한다면? 세입자의 권리와 보상 방법 (0) | 2025.04.03 |
위장전입 시도, 신종 사기일까? 이유와 대처법 알아보기 (1) | 2025.04.02 |